JAVA46 자바(Java)의 제어문 🔍 제어문이란? 자바 프로그래밍에서 제어문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제어문을 통해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 반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문을 사용하는 것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유연하게 제어하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조건에 따른 분기 처리: 종류별 처리: if-else문을 사용하여 조건에 따라 다른 코드 블록을 실행함으로써 특정 조건에 맞게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복 작업 간편화: 일정 횟수만큼 반복: for문이나 while문을 이용하여 일정 횟수만큼 반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조건에 따라 반복: do-while문을 사용하여 최소 한 번은 반복 실행하고, 그 후에 조건을 검사하여 필요한 만큼 반복할 수 있다. 다양한 경우의 수 처리.. JAVA/Theory 2023. 12. 18. 자바(Java)의 접근 제어자 🔍 접근제어자란? 자바(Java)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클래스와 객체를 중심으로 한 개발을 지원한다. 이러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 중 하나가 접근 제어자(access modifier)이다. 자바에서는 다섯 가지 주요 접근 제어자를 통해 클래스의 멤버 변수와 메서드에 대한 접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 default (package-private): 패키지 내에서만 자유로운 접근 만약 접근 제어자를 명시하지 않으면, 해당 멤버는 default로 간주되어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패키지 내부에서의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해진다. class MyClass { int myDefaultVariable; void myDefaultMethod().. JAVA/Theory 2023. 12. 17. 배열 리스트(Array List) 🔥 배열 리스트란? Java에서 배열 리스트는 데이터를 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구조 중 하나이다. 배열 리스트는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때 효율적이다. java.util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어, import java.util.ArrayList; 문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 배열 리스트의 특징 크기의 동적 조절: 배열 리스트는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프로그램 실행 중에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배열에서는 처음에 크기를 정해줘야 하지만 배열리스트는 그렇지 않다.) 다양한 데이터 타입 지원: Java의 Generics를 활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rayList, ArrayList과 같이 사용할.. JAVA/Theory 2023. 12. 17. 자바(Java)의 연산자 자바(Java)에서 연산자는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조작하는 핵심적인 도구 중 하나이다. 자바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s)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int a = 5; int b = 2; int sum = a + b; // 덧셈 int difference = a - b; // 뺄셈 int product = a * b; // 곱셈 int quotient = a / b; // 나눗셈 int remainder = a % b; // a를 b로 나눈 나머지 🔍 대입 연산자(Assignment Operators) int x = 10; int y = 5; x += y; // x = x + y; x -= y; //.. JAVA/Theory 2023. 12. 14. 자바(Java)의 변수와 자료형 자바(Java)는 많은 프로그래머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이식성을 제공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에서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기초적인 내용을 정리한다. 🔥 변수(Variable) 변수의 개념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자바에서 변수는 선언된 블록 내에서 사용되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데에 활용된다. 변수의 선언 자바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는 다음과 같은 구문을 사용한다. 여기서 자료형은 변수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지를 정의하며, 변수명은 변수의 이름을 지정한다. 변수의 초기화 변수를 선언한 후에는 초기값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변수의 활용 변수는 프로그램 내에서 계산, 저장, 조작 등 다양한 용도로 .. JAVA/Theory 2023. 12. 14. [Program] MVC패턴을 이용한 자판기 🔥 기능 자판기 프로그램 사용자 : 메뉴목록출력, 메뉴선택 관리자 : 메뉴추가, 메뉴재고변경, 메뉴삭제 💧 코드 Model (DAO) package model;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ProductDAO { private ArrayList datas; // DB public ProductDAO() { datas=new ArrayList(); // 샘플 데이터 추가 ProductDTO sample01=new ProductDTO(); sample01.setNum(1001); sample01.setName("콜라"); sample01.setPrice(1200); sample01.setCnt(3); datas.add(sample01); ProductDTO sam.. JAVA/Practice 2023. 12. 13. [디자인패턴] MVC 🔥 Model (DTO vs DAO) 모델은 데이터와 관련된 작업을 처리한다. 자료형이 없어서 개발자가 직접 만든 자료형으로 DTO와 VO가 있다. JAVA는 2개이상의 값, 특히 return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개의 값을 들고 다닐 목적으로 만든 클래스의 객체다. (print가 없어용) DAO는 DTO객체들을 CRUD 하는 클래스다. JAVA는 2개이상의 값을 특히 return 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개의 값을 들고 다닐 목적으로 만든 클래스의 객체다. DTO 역할 : 멤버변수 초기화 / getter, setter / toString 오버라이드 / 객체의 값을 저장 DAO 역할 : DTO로 이루어진 배열리스트를 생성 및 CRUD 담당 💧 View 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여주고, 사용자의 입력을 .. JAVA/Theory 2023. 12. 12. 자바(Java)의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실행을 방해하는 조건이나 상태를 예외(Exception)라고 하며, 이러한 예외가 발생했을 때 개발자가 해당 문제에 대비해 작성해 놓은 처리 루틴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라고 한다. 예외가 발생했을 때 일반적인 루틴은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거나 로그를 남기도록 하는 것이다. 자바(Java)에는 예외 처리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자바(Java)의 예외 처리 자바(Java)는 예외를 객체로 취급하기 때문에 예외와 관련된 클래스 java.lang 패키지에서 제공한다. 또한 try ~ catch 문을 이용해 예외를 처리할 수 있다. try ~ catch 문 try{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 } c.. JAVA/Theory 2023. 12. 10. [Program] 배열리스트를 이용한 학생부 🔥 기능 설명 학생들을 관리하고 검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든다. 사용자는 학생 목록을 출력할 수있고 특정 학생 1명을 검색하거나 전체 학생 중에서 가장 성적이 높은 학생 1명을 출력할 수 있다. 학생 추가, 점수 변경, 학생 삭제는 관리자만 할 수 있도록 한다. 💧 코드 package class03; import java.util.ArrayList; // 배열리스트를 사용하기 위해 ArrayList를 import import java.util.Random;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Student { // 접근제어자 // public 메서드 // private 멤버변수 private int num; // PK : 사용자가 선택 xxx 프로그램에서 설정 O private S.. JAVA/Practice 2023. 12. 10. 추상클래스(Abstract Class)와 인터페이스(Interface) 🔥 추상클래스(Abstract Class) 추상클래스는 하나 이상의 추상 메서드를 포함할 수 있어, 하위 클래스에서 반드시 구현되어야 한다. 일반 메서드와 멤버 변수를 포함할 수 있어, 일부 구현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되며, 객체를 생성할 수 없다. abstract class Animal{ String type; String name; Animal(String type){ this(type, type); } Animal(String type, String name){ this.type=type; this.name=name; } abstract void hello(); JAVA/Theory 2023. 12. 7. 오버로딩(Overloading)과 오버라이딩(Overriding) 🔥 오버로딩(Overloading) 오버로딩은 같은 메서드 이름을 여러 번 사용한다. 그런데 매번 매개변수를 다르게 가져야 한다. 그래야 컴파일러가 어떤 메서드를 호출해야 할지 알 수 있다. 이게 메서드 이름을 기억하기 쉽게 만들어주고, 사용도 편하게 만들어준다. public class 계산기 { public int 더하기(int a, int b) { return a + b; } public double 더하기(double a, double b) { return a + b; } } 💧 오버라이딩(Overriding) 오버라이딩은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된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에서 동일한 이름과 시그니처로 덮어쓰는 것이다. 메서드 이름, 매개변수, 반환 타입이 똑같아야 한다. 다형성을 이용해서 상위 클래스의 .. JAVA/Theory 2023. 12. 6. 메서드(Method)와 함수(Function) 🔥 메서드(Method) 메서드는 주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클래스 내에 정의된 함수를 의미한다. 클래스는 객체의 설계도로, 그 안에는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는 메서드가 포함된다. 메서드는 클래스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객체 간의 통신과 상호작용을 가능케 한다. 아래 예시에서 myMethod는 MyClass 클래스에 속하는 메서드로, 해당 메서드를 호출함으로써 특정 동작이 수행된다. public class MyClass { // 메서드 정의 public void myMethod() { // 메서드의 기능 구현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 메서드 호출 MyClass myObject = new .. JAVA/Theory 2023. 12. 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