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Theory3 [Node.js] Socket.io 🔍 소켓(Socket)소켓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이다. Request가 있어야만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는 HTTP 프로토콜과는 다르게 소켓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소켓은 TCP 또는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며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WebSocketWebSocket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HTTP를 통해 초기 연결을 설정한 후, 계속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한다. WebSocket은 HTTP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빠른 속도의 실.. Node.js/Theory 2024. 5. 29. [Node.js] Express 프레임워크 🔍 ExpressExpress는 Node.js의 서버 사이드 프레임워크로 Node.js의 API를 단순화 하고 쉽게 서버를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Java에서 사용하는 Spring과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특징으로는 다른 언어들의 프레임워크와 비슷하게 확장성이 좋다는 점과 코드의 양이 줄어들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한다는 점이 있다.🔍 Express 객체Express 객체는 Express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핵심 객체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라우팅, 미들웨어 관리, 요청 및 응답 처리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Express 객체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일반적으로 express() 함수를 통해 생성된다. 이 함수는 Express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반환.. Node.js/Theory 2024. 5. 24. [Node.js] Node.js와 기본 내장 모듈 🔍 Node.jsNode.js는 JavaScript 런타임 환경으로,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JavaScript로 서버 측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 Node.js는 Chrome의 V8 JavaScript 엔진 위에 구축되어 있으며, 비동기 이벤트 주도 아키텍처를 통해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Node.js를 사용하면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에 동일한 언어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어 개발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것은 전체 스택을 JavaScript로 유지하면서 개발자들이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간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SpringFramework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때는 프론트단은 jQuery 백단은 java를 사용했다.) Node.js의 가.. Node.js/Theory 2024. 5. 24. 이전 1 다음